분류 전체보기(93)
-
White Cloud _자전거 문화시설 (고양)
고양, 행주산성 인근.자전거 이용자들을 위한 휴게, 문화 공간을 설계했습니다.(with 일상다반사 건축사사무소) 여러 사정으로 당초 계획과 결과물이 많이 달라져서 이 안은 unbuilt 카테고리로 오게 되었지만,또 언젠가 지어질지도 모른다고도 생각합니다. ㅣ설계기간 : 2024. 03 ~ 2025.03ㅣ대지면적 : 3,331.00 ㎡ ㅣ연 면 적 : 207.97 ㎡ㅣ규 모 : 지상 1층, 5개동ㅣ설계범위 : 대지 전체 계획ㅣ공동작업 : 건축사무소 일상다반사 (김성채 소장) 1. 기존 대지 환경 고가도로 하부 공간이 해당 부지이며, 자전거 도로에서 보이는 위치이기는 하지만 그늘진 곳이라 가시성이 몹시 떨어진다. 주변은 정돈되지 않았고, 작은 가게들, 유휴지들, 울퉁불퉁한 도로, 주..
2025.08.08 -
Layering Layering [청사 별관 리모델링]
ㅣ설계기간 : 2023. 01 ~ 2023.06ㅣ시공기간 : 2023. 06 ~ 2023.09ㅣ연 면 적 : 1,493.12 ㎡ㅣ규 모 : 지상 5층, 주차 20대ㅣ설계범위 : 1층 외장, 1~5층 내부 전체 리모델링 및 인테리어 일부, 옥상 정비ㅣ공동작업 : 건축사무소 BIGMINI (장우재 소장) 시에서 언젠가 청사를 신축하기 위해 매입해놓은 부지에 있는 오래된 건물입니다.청사 신축은 언제 진행될지 모르고, 청사 공간은 계속 부족해서 인근 건물에 임대료를 지급하고 있고,예산은 넉넉하지 않지만 그래도 있는 건물 고쳐서 몇 년이라도 써 보자 하고 시작된 프로젝트입니다. > 공사 전 설명대로 예산은 넉넉하지 않았고, 그래서 엘리베이터도 추후 설치하게 되었고 창호 변경도 별도로 진행..
2025.08.05 -
단독주택 온 마당집
ㅣ설계기간 : 2022. 12 ~ 2023.06 ㅣ감리기간 : 2023. 06 ~ 2024. 01ㅣ시공기간 : 2023. 06 ~ 2024. 01ㅣ건축면적 : 154.93 ㎡ㅣ연 면 적 : 196.29 ㎡ㅣ건 폐 율 : 36.08 %ㅣ용 적 률 : 39.08 %ㅣ시 공 : 골조공사 이후 시공사 타절(소송), 건축주 직영공사 언젠가 이 프로젝트는 카테고리로 옮겨갈 수도 있겠습니다. 설계 용역 완료, 납품, 인허가 완료. 시공사 선정, 착공, 감리 시작.사용승인 접수 직전 건축주가 일방적으로 감리자 변경하여 감리 완료 불가.이러저러한 이유로 아직도 사용승인 완료되지 않음. (현재 2025.08) 설계는 즐겁게 진행했지만, 시공 중에는 참 마음고생 많았던 프로젝트였습니다.가까..
2025.08.05 -
단독주택 비튼집
ㅣ설계기간 : 2022. 02 ~ 2023.03ㅣ건축면적 : 95.50 ㎡ㅣ연 면 적 : 146.60 ㎡ㅣ건 폐 율 : 36.06 %ㅣ용 적 률 : 55.36 % 파주 통일동산 내에 위치한 대지입니다.해외에 주재중인 아드님이 부모님과 함께 살기 위해 설계를 시작했습니다.건축주와는 주로 온라인으로 소통을 했고,현재도 파주에 살고 계신 부모님과는 때때로 미팅을 진행하였습니다. 인허가도 완료했고, 외장재는 물론 벽지까지도 모두 선정을 완료한 프로젝트였는데,마지막 시공사 선정 과정에서 사정이 생겨 아직 착공하지 못하였습니다.이대로 unbuilt 카테고리로 넘어가게 될까요, 공사를 하게될까요. 집의 구성은 단순합니다.부모님께서 주로 머무는 1층과, 건축주 분이 주로 머무는 2층으로 계획되어..
2025.08.05 -
용문 금당누리센터 현상설계
202506용문면 금당누리센터 현상설계참가작
2025.08.05 -
Louis Park Masterplan (민간 현상)
2023.11Louis Pet Park Master Plan 참가
2025.08.05 -
향남산단 복합문화센터 현상설계
2023.10 참가작
2025.08.05 -
숲숨집 -3 [야경]
ㅣ설계기간 : 2022. 04 ~ 2022.12 / 2024. 01 ~ 2024. 06ㅣ시공기간 : 2024. 06 ~ 2025.01ㅣ건축면적 : 99.12 ㎡ㅣ연 면 적 : 192.43 ㎡ㅣ건 폐 율 : 19.98 %ㅣ용 적 률 : 38.80 %ㅣ시 공 : 하우스컬처 ** 집의 이야기들은 '숲숨집 -1 [story + 외부공간]' 게시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내부공간 이야기들은 '숲숨집 -2 [내부공간]' 게시글에 살짝 더 있습니다. [흰 덩어리들과 회색벽]가족들이 머무는 실내공간은 보드라운 흰색 벽들로 감싸져 있고, 그 바깥으로 회색 벽돌 벽이 듬직하게 집을 한 겹 더 감싸고 있습니다.이 회색 벽들은 바깥의 시선을 걸러주고, 빛도 걸러주고, 가족들이 들고..
2025.08.05 -
숲숨집 -2 [내부공간]
ㅣ설계기간 : 2022. 04 ~ 2022.12 / 2024. 01 ~ 2024. 06ㅣ시공기간 : 2024. 06 ~ 2025.01ㅣ건축면적 : 99.12 ㎡ㅣ연 면 적 : 192.43 ㎡ㅣ건 폐 율 : 19.98 %ㅣ용 적 률 : 38.80 %ㅣ시 공 : 하우스컬처 ** 집의 이야기들은 '숲숨집 -1 [story + 외부공간]' 게시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내부공간 이야기들은 '숲숨집 -2 [내부공간]' 게시글에 살짝 더 있습니다. [흰 덩어리들과 회색벽]가족들이 머무는 실내공간은 보드라운 흰색 벽들로 감싸져 있고, 그 바깥으로 회색 벽돌 벽이 듬직하게 집을 한 겹 더 감싸고 있습니다.이 회색 벽들은 바깥의 시선을 걸러주고, 빛도 걸러주고, 가족들이 들고..
2025.08.05 -
숲숨집 -1 [ story + 외부공간 ]
ㅣ설계기간 : 2022. 04 ~ 2022.12 / 2024. 01 ~ 2024. 06ㅣ시공기간 : 2024. 06 ~ 2025.01ㅣ건축면적 : 99.12 ㎡ ㅣ연 면 적 : 192.43 ㎡ㅣ건 폐 율 : 19.98 %ㅣ용 적 률 : 38.80 %ㅣ시 공 : 하우스컬처 2022년 4월 처음 만난 가족과 신나게 설계를 진행했었습니다.가족들은 각각의 로망이 있었고, 온 가족의 사랑둥이 냐옹이 깨비도 이 가족의 중요한 일원이었습니다.단독주택 설계할 때는 저희가 숙제도 많이 내는데요. 그 숙제도 언제나 뚝딱뚝딱 빠르게, 그리고 늘 함께 해결해내는 성실한 가족이기도 했지요. 만날 때마다 즐겁고 감사하고 행복했던 시간들이었습니다. 부지도 바로 옆 숲이 얼마나 풍성하고 아름다운..
2025.08.05 -
[youtube] 업무공간 리모델링
구로구 시설관리공단 업무공간 리모델링 (인테리어 프로젝트) 입니다.구로구 시설관리공단의 영상이며, 장소장의 인터뷰가 삽입되어 있습니다. https://youtu.be/c6qeBJo6UZc?si=fXf3x5iCKQJDxgIj
2025.02.24 -
[Youtube] 아도나이-빌딩 목영
아도나이- 목영 근린생활시설 준공 영상입니다. https://youtu.be/DLIKBr9YuLI?si=AMEuFZ-T_0UAclJE / 파주시 당하동/ 대지 967 ㎡/ 연면적 540.7 ㎡/ 사용승인 2022.02/ 철근콘크리트 구조/ 근린생활시설
2025.02.24 -
Glass Box (공사 업무공간 리모델링)-2 [Completed]
2023년 여름~2024년 봄까지 진행된 프로젝트로,공공시설 업무공간을 리모델링한 프로젝트입니다. 기존에는 동일건물 1층을 사용하고 있었던 공단은달리 사용되고 있던 3층 공간을 업무공간으로 리모델링하여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기존 3층은 업무공간으로 사용하기에 공간구성이 부적합해 완전히 털어내고, 화장실까지 모든 공간 재구성하였습니다. ㅣ설계기간 : 2023. 08 ~ 2023.11ㅣ시공기간 : 2024. 02 ~ 2024.04ㅣ면 적 : 638.5 ㎡ㅣ설계범위 : 철거, 내부공간구성(3층 전체), 붙박이 가구, 인테리어 하드웨어 등 전체시공영역 및 가구와 블라인드 등 구매물품에 대한 자문ㅣCo-work : 빅미니 건축사무소 (장우재 소장)ㅣ시 ..
2025.01.22 -
Glass Box (공사 업무공간 리모델링) -1 [Design]
2023년 여름~2024년 봄까지 진행된 프로젝트로,공공시설 업무공간을 리모델링한 프로젝트입니다. 기존에는 동일건물 1층을 사용하고 있었던 공단은달리 사용되고 있던 3층 공간을 업무공간으로 리모델링하여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기존 3층은 업무공간으로 사용하기에 공간구성이 부적합해 완전히 털어내고, 화장실까지 모든 공간 재구성하였습니다. ㅣ설계기간 : 2023. 08 ~ 2023.11ㅣ시공기간 : 2024. 02 ~ 2024.04ㅣ면 적 : 638.5 ㎡ㅣ설계범위 : 철거, 내부공간구성(3층 전체), 붙박이 가구, 인테리어 하드웨어 등 전체시공영역 및 가구와 블라인드 등 구매물품에 대한 자문ㅣCo-work : 빅미니 건축사무소 (장우재 소장)ㅣ시 ..
2025.01.22 -
파주 금촌 실내배드민턴장
디자인랩소소 건축사사무소는 파주 금촌 실내 배드민턴장 증개축 설계 및 감리를 진행했고, 22년 봄, 개관했다. 한겨울, 추운 실내배드민턴장에서 클럽 회원들을 만났고, 다양한 바람과 기대, 현재의 불편함을 듣고 이야기를 나눴다. ↓ 기존 건물 건물은 오래되어 많이 낡아 있었고, 오랜 시간 필요에 따라 고치며 사용하는 바람에 바닥레벨이 맞지 않거나 위험해보이는 곳도 있었다. 여러 바람들을 받아들고, 낡은 곳과 고쳐야하는 부분도 파악하고, 공사의 용이성, 비용의 절감 등 많은 현실적인 것들과 맞물려 설계가 진행되었다. 증축방향을 결정하는 과정은 쉽지 않았다. 다양한 의견들과 현실적 문제들이 있었지만, 기존 편의시설을 철거하여 경기코트를 4면에서 6면으로 늘리기로 했고, 증축부분 1층에는 편의시설을 신설하고 2..
2023.07.09 -
Adonai_빌딩 목영
근린생활시설 아도나이. 2022년 2월에 준공하고 임대되어 지금은 식당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준공했을 때는 아직 초록이 나오기 전, 2월이어서 아쉬웠는데요. 그래도 초록 대신 나무 그림자들이 잘 어우러져서 좋았습니다. 아무리 고민이 많고 협의할 게 많아도 갈 때마다 힐링되는 느낌이었던 현장. 뒤늦게 준공사진을 포스팅합니다. 1. 새로운 풍경 신도시의 공원과 신도시 바깥 마을의 경계에 위치한 이 땅에 세워지는 건물은 어쩔 수 없이 기존 마을에서 바라보는 풍경을 바꾸게 된다. 땅의 지형적 특성과 근린생활시설의 특성상 나무와 산이 보였던 풍경 그대로일 수는 없지만, 새로운 건물이 조금은 다정한 표정으로 조용히 말을 건네는 새로운 풍경이 되어주기를 바랐다. 마을을 향한 입면의 개구부는 마을에 보내는 따듯한 메..
2023.07.09 - 금촌 실내배드민턴장 증축공사. 시작 2021.07.22
-
서울서울서울 @ 디자인랩소소+유오건축 [전시] 2015
서울의 나머지 지역에 대한 시리즈 전시인 '서울서울서울'의 전시에 디자인랩 소소와 유오 디자인오피스(현, 무드에이 건축사사무소) 가 함께 했습니다. 서울서울서울 시리즈 전시는 5월부터 서울의 여러 지역에서, 오래된 장소에 머물고 있는 건축 설계 사무소들과 설치 작가들이 협업을 통해 진행했던 전시였구요. 저희 사무실에서는 7월 한달 동안 전시가 진행되었었지요. 소소, 유오와 함께 작업을 했던 작가님은 '우리' 작가님인데요. 일시적 재료인 화장지를 이용한 작업을 연작처럼 하고 계신 분입니다. 여기서는, 충무로 옥탑 사무실의 '독특했던 사건' 그 자체를 주제로 잡아 작업해 주셨습니다. 소소와 유오는 옥탑 사무실 자체에 대한 전시를 준비했습니다. 충무로 사무실이 들어가 있는 건물은 올해로 지어진 지 50년이 된..
2021.07.21 -
Project at Tori Wood Park
Proposal of Art Project at Tori Wood Park, Hongcheon 홍천 토리숲 잣 조형물 디자인 제안 [2013년] 홍천군 잣 특산품 조형물 디자인을 제안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적당히 유치해야한다는 요구가 있었구요. 그래서 누구나 잣열매를 연상할 수 있는 쉬운 디자인이면서도 공원에 어울리는 디자인 조형물을 만들어보려 했습니다...만, 결국 잣열매와 똑같은 모양으로 만들기로 했다 들었습니다. (젠장!) 뭐, 결국 어떤 것이 세워질지 알 수는 없지만, 그래도 이런 제안을 해볼 수 있었다는 것이 신선하고 재밌었습니다. 시간을 그리 많이 들인 결과물이 아니어서 많이 아쉽진 않지만, 상황은 꽤 안타깝네요.
2021.07.21 -
소소+유오 손작업 브랜드 '만지작'
2015 대한민국 건축문화제의 플리마켓에서 소소와 유오(현, 무드에이)의 새로운 손작업 브랜드인 만지작이 선을 보였습니다. 건축가는 숟가락부터 도시까지 디자인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던 거장 건축가도 있었지요. 저희는 일단 손으로 무언가 만들어보기로 했고, 그래서 충무로 사무실을 먼지구덩이로 만들며 이것저것 만들어보았습니다. 만지작의 로고를 만들고, 스티커를 만들고, 본격적으로 자석이 붙는 나무 소품들과 데스크 스탠드를 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드디어 2015 대한민국 건축문화제 플리마켓 장소. 난생 처음 오프라인 장사를 유오와 번갈아가며 해보았습니다. 쉽지 않더군요. 만지작 테이블의 사진입니다.
2021.07.21 -
깊고 밝은 집, 오온재(奥溫齋)
택지개발지구 / 2개동 단독주택 Requirment >> 분양을 위한 주택 >> 택지에 2개동 단독주택 Issue >> 진입과 주차, 분양을 위해 대지를 길게 나누어 장방형 매스를 병렬로 배치 >> 좁고 긴 집의 채광, 환기, 공간 구성의 어려움 >> 정북일조사선으로 인한 다락 구성의 어려움 >> 각 동의 프라이버시 확보 Solution >> 중정을 두어 내부 채광 및 환기 확보 >> 서로 엇갈린 창의 배치, 옥상공간의 배치로 각 동 프라이버시 확보 >> 서향으로만 조망을 위한 큰 창 계획 Situation >> 준공완료 [준공사진] [모형사진]
2021.07.21 -
철도 어린이집 현상설계
2020.11
2021.07.21 -
도레미 어린이집 현상설계
디자인랩소소의 첫 현상설계 참여작입니다. 구립 어린이집 현상설계에 참여했구요. 경사가 심한 땅이고, 여유있는 땅은 아니었습니다. 각각의 교실에서 직접 출입 가능한 외부공간들을 두어 아이들이 더욱 다양한 체험학습을 할 수 있기를 바랐구요. 공동의 놀이공간도 여러 실들에서 직접 출입 가능한 중정에 배치하여 교사들의 케어도 용이하고 아이들도 더욱 아늑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습니다. 결과는 아쉽습니다만, 아이들을 상상하며 즐겁게 진행했습니다.
2021.07.21 - 파주 근린생활시설 아도나이. 모형사진 2021.06.08
-
[소소한 집 이야기] 집의 작고 큰 이야기
이 글은 월간 전원생활에 연재하는 글입니다. 전원생활 2020년 12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지난 3년간 공간, 꿈, 집을 만드는 시간 등 집에 대해 참 많은 이야기를 했다.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 먹을 것을 만들고 몸을 누이는 보금자리인 집은 우리 삶을 만들고 버티게 해주는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다. 집의 구조, 평면의 구성 등 집의 굵직한 이야기부터, 손잡이와 화장실 같은 작은 이야기까지 다양한 이야기들을 해 왔다. 마지막으로 집의 크고 작은 이야기들을 정리하여 행복한 집에서 살아가는 데 조금은 도움이 되고자 한다. 집의 큰 이야기 집의 큰 이야기들은 집을 집답게 하는 기본적인 요소들에 대한 것이다. 집의 구조, 평면이나 단면 등 공간의 구성, 채광과 환기 등은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을 위한 기본적인 ..
2021.02.17 -
[소소한 집 이야기] 집짓기의 시간
이 글은 월간 전원생활에 연재하는 글입니다. 전원생활 2020년 11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집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TV 프로그램에서는 집을 소개하고 찾아보며 살아보기까지 한다. 아파트를 벗어나 우리 가족의 집을 지으려는 이들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집에 대한 최근의 관심은 우리 집, 내 공간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진다. 또한 집을 짓거나 고치는 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집짓기의 시작 집을 짓기로 마음먹는 것에서 집짓기는 시작된다. 마음의 결정을 했으면 예산과 가족들의 생활방식에 따라 지역을 결정하고, 살고 싶은 동네에 대해 이야기해보는 것이 좋다. 도시가 좋은지 한적한 동네가 좋은지부터, 대중교통, 병원이나 시장과의 거리 등 각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들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대화를 통해 ..
2021.02.17 -
[소소한 집 이야기] 시선이 마주치고 흘러가는 집
이 글은 월간 전원생활에 연재하는 글입니다. 전원생활 2020년 10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그 어느 때보다 집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2020년이다. 때로는 머물러 있고, 때로는 움직이고, 때로는 일도 하는 공간. 집에 대해서 가장 많은 생각을 하며 한 해를 보내고 있다. 집의 어디에 머물든 내가 무엇을 할 때 어떤 것을 바라보느냐, 누구에게 어떻게 보이느냐에 따라 공간에 대한 감각과 감상은 달라지고, 집에 머무는 시간의 기억도 달라진다. 들어서기 현관문을 열고 집에 들어섰을 때 무엇을 마주하게 되느냐에 따라 집에 들어섰을 때의 감상은 달라진다. 현관에서 동선이 흩어지거나 꺾이는 경우 벽을 마주하게 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공간에 들어섰을 때 마주하게 되는 벽은 다시 나를 밀어내는 듯 느껴지기도 하..
2021.02.17 -
[소소한 집 이야기] 주택살이의 고단한 즐거움
이 글은 월간 전원생활에 연재하는 글입니다. 전원생활 2020년 9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기록적으로 긴 장마를 지나왔다. 더위보다는 비와 산사태, 코로나로 기억될 여름을 지나 이제 가을과 겨울을 준비해야 한다. 주택살이 예전과 달리 지금 우리나라에는 아파트에 사는 인구가 훨씬 많다. 그러하다보니 지금 단독주택에 사는 사람들은 주택살이가 처음이거나 익숙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아파트에 사는 우리는 관리비만 낼 뿐 집의 관리가 어떤 것인지 잘 모른다. 건물에 때가 탈 때, 계절이 바뀔 때, 어딘가 상하거나 낡았을 때 무엇을 해야 하는지 잘 모르기 때문에, 주택에 살게 되면 예방할 수 있는 문제를 키우는 경우도 많다. 멋진 마당에 파라솔과 테이블을 놓고 텃밭에서 상추를 뜯어 바비큐를 하는 로망은 주택살이의 전..
2021.02.17 -
[소소한 집 이야기] 딛고 서는 집
이 글은 월간 전원생활에 연재하는 글입니다. 전원생활 2020년 8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공간을 인지하는 가장 중요한 감각은 시각이지만, 여름이면 발에 끈적끈적하게 달라붙던 장판의 느낌, 걸을 때마다 삐끄덕 소리가 나던 오래된 마루의 매끈하고 거친 촉감은 공간에 대한 기억을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발의 감각 나무의 든든함, 매끈한 석재의 시원함, 부드러운 카페트의 따뜻함은 대부분 발로 느끼는 감각이다. 우리의 시선은 벽과 천장, 조명 등에 주로 머물지만, 우리가 공간에 서 있을 때 물리적으로 가장 가까이서 직접 공간을 감지하는 우리 신체는 발이다. 발로 느끼는 감각은 공간을 인지하는 데 있어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집을 짓고 인테리어를 할 때 벽이나 조명에 비해 그리 중요하게 취급되지 못하지만 그..
2021.02.17 - 파주 깊고 밝은 집. 모형사진 2020.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