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3)
-
[건축가의 집 이야기] 집 안의 작은 우주, 주방
이 글은 월간 전원생활에 연재하는 글입니다. 전원생활 2018년 4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집을 집답게 만드는 것은 집의 온기가 아닐까. 주방에서 스며 나오는 따뜻한 느낌, 음식 냄새, 노란 조명 같은 것들은 우리가 따뜻한 집을 생각할 때 가장 흔히 떠올리는 장면 중 하나다. 집을 집답게 만드는 공간, 의식주 중 식과 주가 하나 되는 공간, 주방이다. 불의 공간, 집의 시작 인류가 불을 피우기 시작하고, 불 옆에서 먹고 자게 되면서 불을 중심으로 한 공간은 집으로 발전되었다. 최초 구석기 집터를 보면 화덕이 공간의 중앙에 위치하며, 게르 등에서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서구에서는 19세기 이전까지 벽난로로 난방뿐 아니라 취사도 하였고, 불의 공간은 곧 가족의 중심 생활공간이었다. 이후 벽난로는 가스와..
2020.12.03 -
[건축가의 집 이야기] 옛집에 새 삶 담기
이 글은 월간 전원생활에 연재하는 글입니다. 전원생활 2018년 3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집을 고쳐 쓰는 것은 새로 짓는 것보다 어렵고, 비용도 생각보다 저렴하지 않다. 따라서 많이 고민하고 결정해야 한다. 하지만 옛것을 새로 고쳐 그 안에 새로운 이야기와 삶을 담아내는 것은 그 자체로도 꽤 괜찮은 일이다. 슬금슬금 봄이 다가온다. 3월은 공사가 가장 많이 시작되는 달이다. 겨우내 고민하고 생각했던 결과물을 현실로 만들기에 3월은 여러모로 좋다. 신축공사의 경우 3월에 시작하면 너무 더운 여름이 오기 전에 골조 공사를 끝낼 수 있고, 한여름 비지땀을 덜 흘리려면 리모델링 공사도 봄에 시작해 끝내는 것이 좋다. 집, 고쳐 쓸까, 새로 지을까 예전에는 너무 흔하거나 값싸다고 주목받지 못하던 적벽돌 집이나 시..
2020.12.03 -
[건축가의 집 이야기] 우리 집에 알맞은 구조방식 정하기
이 글은 월간 전원생활에 연재하는 글입니다. 전원생활 2018년 2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건축은 기본적으로 중력에 반하여 무언가를 세우는 행위이고, 어떻게 세울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인간이 집을 만들기 시작한 이래로 계속되어 왔다. 그 방식에 대한 고민의 결과가 지금의 다양한 건축 구조 방식이다. 지난 12월은 너무 추웠다. 겨울에는 추운 것이 당연하지만, 지난 12월은 해도 너무했다. 70여 년 만에 처음으로 한강 물이 얼어붙은 12월이었다 하니, 이제 추위의 때도 경험치로 가늠하기가 더 어려워진 것이 아닌가 싶다. 이렇게 날씨가 갑자기 많이 추워지거나 더워질 때는 하루에도 몇 번씩 일기예보를 확인한다. 건축 공사에는 물이 쓰이는 공정이 많기 때문이다. 그 대표적인 것이 콘크리트 골조 공사인데, 대체로..
2020.12.03 -
[건축가의 집 이야기] 당신은 틀리지 않다
이 글은 월간 전원생활에 연재하는 글입니다. 전원생활 2018년 1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집을 지어야지 마음을 먹고 나면 보통 제일 먼저 하는 일이 인터넷 검색이나 서점에서 책을 찾아보는 것이다. 인터넷에는 멋진 사진이 넘쳐나고, 서점에는 집 짓는 데 얼마 든다는 책부터 닮고 싶은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 책까지 관련 책들이 많기도 하다. 인터넷이나 책에서 본 사진들은 깔끔하고 단정하다. 가구는 집에 꼭 맞춘 듯하고, 너저분한 짐들은 보이지도 않는다. 책들은 흔히 '미니멀 라이프'라고 하는, 단정하고 소박한 삶을 예찬한다. 그러다 문득 집을 돌아본다. 우리 집에는 내가 눈을 두는 곳곳마다 짐들이 박혀 있다. 식탁 위에는 싱크대에 미처 다 올려두지 못한 가전제품들이 있고, 과일도 과자도 널려 있다. 베란다에는..
2020.12.03 -
모닝와이드 - 데 스틸(De Stijl)
2020.05.25 SBS 모닝와이드에 제주를 담은 그림같은 집 '제주 상가주택 데 스틸'이 소개되었습니다.
2020.08.26 -
전원속의 내집 - 데 스틸
2020.6월 전원속의 내집 6월호 오프라인 잡지 및 온라인 미디어에 '제주상가주택 데스틸' 이 소개되었습니다.
2020.08.26 -
Brique - 데 스틸 상가주택
2020.05 디자인랩소소 건축사사무소에서 설계한 제주 상가주택 '데 스틸'이 브리크 매거진에 게재되었습니다.
2020.08.26 -
Daum - 데 스틸(De Stijl)
디자인랩소소 건축사사무소에서 설계한 제주 상가주택 '데 스틸'이 Daum 메인페이지에 게재되었습니다.
2020.08.26 -
아키데일리 - 데 스틸
2020.05 아키데일리 (archdaily)에 데스틸 상가주택 'Whale Island Cafe House'가 소개되었습니다.
2020.08.26 -
팟캐스트 이타미준의 바다 공개방송
2019.08.10 '팟캐스트 안알남'에서 진행한 영화 '이타미준의 바다' CGV 공개방송에 출연했습니다. 팟캐스트 들으러 가기 www.podbbang.com/ch/11373?e=23142706 149. [영화] '이타미준의 바다'에 '이타미 준'이 없는 이 기분은... feat. 장서윤 소장님 8월 15일 개봉할 다큐멘터리 '이타미준의 바다'를 감상하고 얘기를 나누었던 8월10일 삼청동 '과수원' 실황입니다. 전주 국제영화제 한국경쟁부문 CGV 아트하우스 배급지원상에 빛나는 지금 가장 www.podbbang.com
2020.08.26 -
월간 전원속의 내집
2019.04 디자인랩소소 건축사사무소에서 제안한 '테라스가 있는 협소주택 설계제안'이 월간 전원속의 내집에 게재되었습니다.
2020.08.26 -
나무신문 - 청유재
2018.12 디자인랩소소 건축사사무소에서 설계한 '청유재'가 나무신문에 소개되었습니다.
2020.08.26 -
실전 건축 팟캐스트, 집구석
2014.11~ 2017.01 '실전건축팟캐스트, 집구석'을 제작 및 진행을 하였습니다. 팟캐스트 들으러 가기 www.podbbang.com/ch/8437 실전 건축 팟캐스트, 집구석 세명의 젊은 건축가들과 언젠가 집을 지으려는 키네틱 아티스트가 만났다. 집을 짓고 싶은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몰라 고통받는 이들을 위해 집짓기와 집의 구석구석을 뜯어보는 방송, www.podbbang.com
2020.08.26 -
두디귿집
두디귿집 설계: 디자인랩소소 건축사사무소 시공: 태연 종합건설 주식회사 사진: 디자인랩소소 건축사사무소
2020.07.22 -
Whale Island House in Jeju
Whale Island House in Jeju 데 스틸의 시작 사무실로 찾아온 클라이언트의 손은 무거웠다. 엄청나게 많은 자료와 생각들, 아이디어들과 함께였다. 은퇴 후의 새로운 생활을 제주에서 좋아하는 커피와 음악이 가득한 공간에서 보내기로 했다 하였고, 몬드리안으로 대표되는 데 스틸(De Stijl)을 본인이 지을 카페와 집의 컨셉으로 하기를 원하다며 다양한 이미지들을 보여주었다. 설계가 시작되었고, 클라이언트의 열정은 건물이 완성될 때까지 멈추지 않았다. 그 어느 때보다 꼼꼼한 시공사 선정 과정을 경험했고, 공사가 시작되자 클라이언트는 제주에 숙소를 구해 내려갔다. 거의 매일 현장을 들여다보고 의견을 제안했고, 그 열정은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앞으로의 데 스틸도 만들어갈 것이다. 고래섬을 바라보는..
2020.07.22 -
상상재_청라단독주택
상상재_청라단독주택 저희 팟캐스트 청취자였던 건축주는 장소장과 동갑이었습니다. 인천 청라에 부모님, 그리고 아내와 두 아이와 함께 살 집을 지으려 하고 있었지요. 두 가족은 한 가족이기도 하지만, 서로 분명하게 구분되는 생활공간을 원했습니다. 공사 예산은 한정되어 있었고, 넉넉하게 짓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었습니다. 두 부부는 모두 각자의 방이 필요했고, 아이들도 점점 각자의 공간이 필요해지겠지요. 두 아이는 처음 만났을 때 세 살, 일곱 살의 남자아이들이었는데, 정말 잠시도 가만히 있지 않더군요. 그 아이들이 신나게 숨고 뛰고 오르내릴 공간이 필요하겠다 싶었습니다. 여유가 없이 빡빡한 상황이라 계획이 쉽지는 않았습니다. 수많은 대안들 중에 배치안이 결정되었고, 몇 번의 평면 변경 끝에 최종안이 확정되었습..
2020.07.22 -
청유재
청유재 웃음 지을 수 있는 일상을 설계하다 점차 넓어지는 단독주택 시장에 힘입어 젊은 건축가들의 활동 역시 다각화되고 있다. 베테랑 건축가들이 자신만의 노하우를 뽐내듯 젊은 건축가들도 새로운 시각을 선보이며 두각을 나타내는 중이다. 장 소장이 디자인랩 소소라는 이름의 건축사사무소로 독립한 지는 약 2년 반이 됐다. 그동안 주택, 근생, 리모델링 등 다수의 프로젝트를 해왔지만, 특히 단독주택에 대한 애정이 높은 편이라고. “소소라는 이름은 ‘작은 웃음’ So Special Ordinariness _ 즉 아주 특별한 보통의 것을 통해 작은 웃음을 지을 수 있는 공간과 일상을 만들고자 한다는 의지가 담겨 있습니다. 그만큼 굉장히 튀고 화려한 것이 아닌, 정말 필요하거나 일상 속에서 조금의 차이를 줄 수 있는 ..
2020.07.22 -
timeline mobile
2024.08고양시 자전거 문화복합시설 공공디자인 심의 2024.07디자인랩소소 건축사사무소 사무실 이전 _성북구 보문로 2024.06파주 다율동 단독주택 '숲숨집' 시공사 계약 및 착공 / 감리시작 2024.06장서윤 소장 고양시 공공계획가 위촉 2024.05파주 다율동 단독주택 '숲숨집'(커보이는집) 설계 변경 인허가 완료 2024.04구로구시설관리공단 업무공간 리모델링 공사 완료 및 입주 2024.03고양시 자전거 문화복합시설 기본 및 실시설계 계약 2024.02파주 두일마을 온마당집 감리 중지 2024.01파주 다율동 단독주택 '커보이는 집' 설계변경 계약 2024.01구로구시설관리공단 업무공간 리모델링 착공 / 감리시작 2023.11구로구시설관ㄹ니공단 업무공간 리모델링 설계 납품 2023.09파..
2020.07.17 -
about mobile
디자인랩소소 / so Special Ordinariness 건축을 하는 우리는 늘 우리가 머무는 일상과 일상의 작고 큰 공간들을 두루 고민합니다. 늘 가까이서 함께 고민하며 당신의 일상을 만들어나가겠습니다. 디자인랩소소는 아주 특별한 보통의 것들을 통해 작은 웃음을 지을 수 있는 공간과 일상을 만들고자 합니다. We are studying to design ordinary but spacial spaces which could give people little more happiness in their lives. 대표 건축가 장서윤 / 건축가, 건축학석사, March(UK)Architect Jang, Seo Yun 건축가 장서윤은 중앙대학교 건축학과 학사, 석사를 졸업하고 수년의 실무 후 영국 AA ..
2020.07.10 -
mobile process
주택 규모를 기준으로 설계 및 감리를 진행하는 과정입니다. 설계 의뢰를 받은 후 준공까지의 일반적인 흐름을 설명하겠습니다. 프로젝트의 용도, 규모, 비용 등에 따른 구체적인 내용은 개별적으로 상담하도록 하겠습니다. 상담 프로젝트에 대한 요청 사항을 전달받고, 향후의 진행 방식에 대해 조언을 드립니다. 건축 예정 부지가 정해져 있는 경우, 부지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를 파악하며 건축주의 요청 사항을 반영한 설계비 제안서를 보내드립니다. 설령 건축 예정 부지가 정해지지 않은 경우에도 개략적인 상담은 가능하오니 부담없이 연락하셔도 됩니다. 설계 계약 보내드린 설계비 제안서를 검토하신 후, 설계를 진행하게 되는 경우에는 설계 계약을 맺습니다. 이 후 본격적인 검토를 시작으로 기본 설계를 진행합니다. 설계 계약 전..
2020.07.05 -
timeline
2025.022024.112024.112024.082024.072024.062024.062024.052024.042024.032024.022024.012024.012023.112023.092023.082023.062023.062023.05.012023.042023.012022.12.2022.112022.10.052022.09.2022.09.162022.08.2022.04.262022.04.042022.032022.02.242022.02.2022.02.102022.02.2022.01.2021.10.292021.09.132021.072021.07.142021.07.022021.06.282021.06.232021.06.052021.05.282021.04.142020.12.162020.12.052020.11.3..
2020.06.21 -
에이플래폼 - 건축가의 집 이야기
디자인랩소소 건축사사무소에서 월간 전원생활에 연재했던 글이 에이플래폼에 '건축가의 집이야기'라는 테마로 함께 연재되고 있습니다.
2020.06.17 -
Process in soSO
with Design Lab so S.O 디자인랩소소와 함께 설계,감리를 진행하는 과정에 대해 소개해드립니다. 본 내용은 단독주택 프로젝트 기준으로 작성된 것으로,용도,규모,비용 등에 따라 세부 내용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첫 만남 / 첫 상담 부지, 예산과 희망사항 등 프로젝트의 기본적인 사항들을 말씀해 주시면 향후 진행방식과 일정 등에 대해 상담해드립니다. 프로젝트와 부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한 후 설계비도 제안 드립니다. 어떤 경우든 상담은 가능하니 부담 없이 연락 주셔도 좋습니다. 설계 계약 충분한 상담 후 설계비와 일정에 대한 합의가 되면 설계 계약을 진행합니다. 감리에 대한 계약을 함께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계약 전 무상 기획 설계는 진행하지 않습니다. 기획설계 및 기본설계 설계계약 후 기..
2020.06.15 -
Contact
디자인랩소소 건축사사무소 A.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로32길 102-19, 102호 디자인랩소소T. 02-2038-7852E. yo2n.jang@gmail.com 상담문의 BlogFacebookInstagram
2020.06.14 - 제주 카페 데 스틸 #3. 늦가을, 시공중인 제주 현장 2020.06.14
- 제주 카페 데 스틸 #2. 현장 2020.06.14
- 제주 카페 데 스틸 #1. 공사 시작 2020.06.14
- 동탄근생시설_공사중 2020.06.14
-
청유재 #1. 그래도 행복했던 현장
디자인
2020.06.14 -
동탄 H-building
동탄 H-building 신도시의 얼굴들 신도시의 근린생활시설, 다가구주택의 모습들은 다 다르지만 다 비슷합니다. 건물은 단순한 입방형으로 건폐율에 맞춰 세우고, 다양한 재료들을 사용하여 그 정체성을 나타내려 애씁니다.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도 합니다. 근린생활시설은 기본적으로 임대를 위해 짓는 건물이고 수익성이 중요하므로 눈에 바로 결과가 보이지 않는 설계와 디자인에 공을 들이고 시간을 들일 여유를 가지기는 쉽지 않습니다. 본 프로젝트의 클라이언트 역시 최대한의 임대면적, 심플하고 이해하기 쉬운 공간구조, 공사비도 절약할 수 있는 디자인을 원했지만, 그러면서도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는 눈에 띄는 건물을 원해 디자인에 공을 들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외장재 선택 후, 수익과 비용의 문제로 좌우측면과 후..
2020.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