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8. 8. 17:02ㆍProject/unbuilt
고양, 행주산성 인근.
자전거 이용자들을 위한 휴게, 문화 공간을 설계했습니다.
(with 일상다반사 건축사사무소)
여러 사정으로 당초 계획과 결과물이 많이 달라져서 이 안은 unbuilt 카테고리로 오게 되었지만,
또 언젠가 지어질지도 모른다고도 생각합니다.
ㅣ설계기간 : 2024. 03 ~ 2025.03
ㅣ대지면적 : 3,331.00 ㎡
ㅣ연 면 적 : 207.97 ㎡
ㅣ규 모 : 지상 1층, 5개동
ㅣ설계범위 : 대지 전체 계획
ㅣ공동작업 : 건축사무소 일상다반사 (김성채 소장)
1. 기존 대지 환경
고가도로 하부 공간이 해당 부지이며, 자전거 도로에서 보이는 위치이기는 하지만 그늘진 곳이라 가시성이 몹시 떨어진다. 주변은 정돈되지 않았고, 작은 가게들, 유휴지들, 울퉁불퉁한 도로, 주유소와 타이어 가게 등이 들쭉날쭉 서 있다.
주변과는 다른 공간이라는 이미지, 어두운 고가 하부가 아니라 밝은 공간이라는 이미지가 필요하며, 길 건너 자전거길 이용자들에게도 존재감을 어필하고 이리오라 유혹할 수 있는 이미지로 존재해야 하는 환경의 시설이다.
2. 경제성과 지속가능성
처음부터 예산이 넉넉한 사업이 아니기도 했고, 예산 확보 후 추가된 기능들이 있다보니 경제성 확보가 매우 중요했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디자인을 위해 가볍고 재활용이 가능한 경제적 재료를 선택하였고, 모듈 시스템을 디자인하여 재활용, 확장, 이전, 철거가 용이하도록 제안했다.
(구조재 : 철 / 마감재 : FRP Grating)
3. 공간 구성의 방식 [Modular Design]
크기와 규격 : 단위 재료의 크기가 정해져 있는 FRP Grating의 부재 사이즈를 바탕으로 정해 재료의 낭비와 인력 절감, 시공 용이성을 확보했다.
구축 및 조합 : 사전 제작된 부재들을 조립하여 구축할 수 있도록 Bolting 접합을 제안했다.
6가지 외부 공간 모듈과 실내 공간 모듈의 조합
4. 공간 구성의 방식
5. 최종 디자인 (3D Scenes)
'Project > unbuil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문 금당누리센터 현상설계 (0) | 2025.08.05 |
---|---|
Louis Park Masterplan (민간 현상) (0) | 2025.08.05 |
향남산단 복합문화센터 현상설계 (0) | 2025.08.05 |
철도 어린이집 현상설계 (0) | 2021.07.21 |
도레미 어린이집 현상설계 (0) | 2021.07.21 |